310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입력 : 2011.11.23 17:46

북한의 연평도 포격 1주기인 23일 오전 전사자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황동부조상이 설치된 연평도 평화공원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해병대 관계자가 분향한 뒤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故) 서정우 하사, 고 문광욱 일병, 보고 싶습니다. 사랑합니다.”

23일 연평도 평화추모공원에서 추모시를 읽는 해병대 홍승표(21) 상병의 목소리는 자주 끊겼다. 고 서정우 하사와 내무반 생활을 함께 한 홍 상병은 “못다 한 휴가는 잘 보냈는지, 밥은 잘 챙겨 먹고 있는지…”라며 끝내 울먹였다.

평화추모공원의 ‘추모의 벽’을 가리고 있던 하얀 천이 벗겨지자 가로·세로 각각 80cm 크기의 황동 부조상이 모습을 드러냈다. 해병대 정복 차림의 서정우 하사와 문광일 일병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

이날 연평도에서는 인천시 옹진군청 주최로 ‘연평도 포격 1주기 추모 및 화합행사’가 열렸다. 조영길 옹진군수, 최영광 옹진군의회 의장, 백경순 해병대 연평부대장을 비롯해 주민과 연평부대원 등 400여명이 참석해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었다.

이날 연평도는 바람이 세찼고 간간히 빗줄기가 보였다. 포격 당시 목숨을 잃은 민간인 희생자 고 배복철씨와 고 김치백씨의 추모비 제막식도 열렸지만 기상 악화로 배편이 끊겨 유가족들이 참석을 못했다

 

 

 

 

 

 

 

 

 

 

 

 

 

 

 

 

 

 

 

 

 

 

 

 

 

 

 

 

 

 

 

 

 

 

 

연평도 포격 1년… 고(故) 서정우 하사, 문광욱 일병의 흉상 제막식      
▲ 22일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 내 해병의 집에서 작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전사한 해병대 고(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흉상 제막식이 열렸다. 문광욱 일병의 아버지 문영조씨가 아들의 흉상을 어루만지고 있다. 뒤쪽 해병들은 문광욱 일병의 동기들(오른쪽부터 이민구 이병, 김재민 이병, 고창아 일병, 정상명 일병)
 
   
 
 
 
 
 
 

▲ 2011년 11월 22일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 내 해병의 집에서 작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전사한 해병대 고(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흉상 제막식이 열렸다. 문광욱 일병의 동기들(오른쪽부터 이민구 이병, 김재민 이병, 고창아 일병, 정상명 일병)이 흉상 앞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 22일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 내 해병의 집에서 작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전사한 해병대 고(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흉상 제막식이 열렸다. 서정우 하사의 아버지 서래일씨와 어머니 김오복씨가 아들의 흉상을

어루만지며 오열하고 있다.

 

 

 

 

 

 

 

▲ 22일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 내 해병의 집에서 작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전사한 해병대 고(故) 서정우 하사(왼쪽)와 문광욱 일병의 흉상 제막식이 열렸다.

 

 

 

▲ 2011년 11월 22일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 내 해병의 집에서 작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전사한 해병대 고(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흉상 제막식이 열렸다. 행사에 참석한 유가족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왼쪽부터 서정우 하사 아버지 서래일씨, 어머니 김오복씨, 문광욱 일병 아버지 문영조씨,

어머니 이순희씨.

 

 

 

▲ 2011년 11월 22일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 내 해병의 집에서 작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전사한 해병대 고(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흉상 제막식이 열렸다. 행사에 참석한 문광욱 일병의 동기들(오른쪽부터 김재민 이병, 고창아 일병, 정상명 일병)이 생각에 잠겨 있다.

 

 

 

 

 

 

 

 

 

 

 

 

 

 

연평도 전사자 1주기서 40분 내내 장대비 맞아

23일 오전 10시 대전 현충원에서는 연평도 포격도발 전사자 1주기 추모식이 열렸다. 김황식 국무총리 및 유가족과 부대원 등 3000여명이 참석했다. 추모식이 시작된 지 10분쯤 후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이 우산을 썼다.

김황식 국무총리가 23일 대전 현충원에서 열린 연평도 포격도발 전사자 1주기 추모식에서 희생 장병의 묘지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총리의 경호팀장도 급히 김 총리에게 우산을 씌웠다. 김 총리는 "됐다, 치우라"고 했다. 김 총리는 전사자의 부대 동기가 추모시를 낭독할 때는 눈시울이 붉어졌으며 간헐적으로 어깨가 들썩였다. 옷이 흥건히 젖은 김 총리는 전사자들의 묘역을 찾아 헌화하고 비석을 어루만졌다. 빗물이 얼굴을 타고내렸고 눈은 충혈돼 있었다. 김 총리는 "그날의 아픔이 되살아나는 듯해 슬프고 고통스럽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40여분 진행된 추모식 내내 장대비를 맞았다.

 

 

 

 

 

 

 

 

 

 

 

 

 

 

 

 

 

 

 

 

 

 

 

 

 

 

 

 

 

 

 

 

 

 

 

 

 

 

 

 

 

 

 

 

 

 

 

 

 

 

 

 

 

 

 

 

 

 

 

 

 

 

 

 

 

 

 

 

 

 

 

 

 

 

 

 

 

 

 

 

 

 

 

 

 

 

 

 

 

 

 

 

 

 

 

 

 

 

 

 

 

 

 

 

 

 

 

 

 

 

 

 

 

 

 

 

 

 

 

                                                      10월24일 철마 다래란 농원에서 담아 습니다.

 

 

1866년 프랑스가 약탈해 간 외규장각 도서 반환에 크게 기여했던 재불(在佛) 역사학자 박병선(83) 박사가 별세했다. 박 박사는 작년 경기도 수원에서 직장암 수술을 받고 파리로 돌아가 ‘병인년, 프랑스가 조선을 침노하다’라는 책 저술 준비를 해왔으나 최근 병세가 악화됐다.
 
23일 프랑스 주재 한국대사관은 “오전 6시 40분쯤(한국시각) 프랑스 파리의 잔 가르니에 병원에서 박 박사가 별세했다”고 밝혔다. 빈소는 파리에 있는 한국 문화원에 마련됐다. 주프랑스 한국대사관은 유족과 장례절차를 논의할 예정이다.
 
박 박사는 직지심체요절이 1455년에 나온 ‘구텐베르크 성서’보다 78년 빠른 금속활자본임을 증명해서 ‘직지 대모(代母)’로 불렸다.
 
그는 1967년부터 13년간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근무하면서 3000만종이 넘는 장서를 뒤져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과 외규장각 도서 297권을 찾아내 주불 한국대사관에 알렸다. 프랑스 상사들의 시선은 차가웠다. 박씨는 뜻을 꺾는 대신 사표를 냈다.
 
이후 매일 도서관에 찾아가 ‘개인’ 자격으로 외규장각 도서 열람을 신청했다. 냉대를 견디면서도 그는 “오늘도 안 됩니까?(Aujourd'hui, on ne peut pas?)”라며 열람신청을 했고, 도서관 직원이 거절할 때마다 “내일 다시 오겠다”고 대답했다. 한 달 만에 간신히 열람 허가가 떨어지기도 했다. 파리의 한인들 사이에서는 박씨가 밥도 안 먹고 외규장각 도서를 베끼고 있다는 소식이 파다했다.
 
지난 3월 외규장각 도서가 ‘대여’ 형식으로 145년 만에 고국에 돌아오자 그는 “말로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 이럴 때 쓰는 말일 것 같다”며 감격해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우리의 의무는 아직도 남아 있다”며 “‘대여’라는 말을 없애기 위해서는 여러분이 손에 손을 잡고 장기간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당부했다.
 
박 박사는 서울에서 태어나 진명여고와 서울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했다. 이후 1955년 홀로 프랑스에 건너가 소르본대학과 프랑스 고등교육원에서 역사학과 종교학으로 각각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직지代母·외규장각 도서 반환 주역 故 박병선 박사 (1928~2011)]
활자 역사 뒤집은 직지의 발견 - 44년전 프랑스에서 찾은 책
'1377년 금속으로 찍은 활자본' 맨 뒷장 글귀 보고 전율
금속활자 입증위해 활자 굽다 세 번이나 집에 불낼 뻔…
도서관 창고에 묻힐 뻔한 의궤 - 베르사유궁에서 찾아내 약탈 145년 만에 고국에 안겨

1967년 어느 날 프랑스 국립도서관. 검은 머리칼을 짧게 친 39세의 한국 여성이 먼지 쌓인 책 한 권을 찾아냈다. 직지심체요절. 그때까지 중국 책으로만 알려져 있던 책의 맨 뒤에서 '1377년 금속으로 찍은 활자본'이라는 내용을 접한 순간 그녀의 머리카락이 곤두섰다. '이걸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5년 뒤 그녀는
파리에서 열린 '책의 해 기념 고서(古書) 전시회'에서 "직지는 1377년 금속으로 찍은 세계 최고(最古) 활자본"이라고 공개해 전 세계 학계를 발칵 뒤집어놓았다. 항의가 빗발쳤다.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인가. 독일 구텐베르크가 1455년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들었는데 그것보다 78년이나 앞서 한국에서 금속활자로 책을 만들었다고?"

왼쪽은 직지심체요절이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 공인받았음을 특종 보도한 조선일보 1972년 5월 28일자 신문. 오른쪽 사진은 그해 한국을 찾은 박병선 박사가 서울 인사동 통문관에서 국내 서지학자들과 함께 직지심체요절 영인본(影印本)을 확인하는 모습이다.
소란의 주인공은 당시 프랑스 국립도서관 임시 직원이던 재불(在佛) 서지학자 박병선(朴炳善). 박씨는 이 전시회와 유럽 내 '동양학자대회'에서 직지심체요절이 구텐베르크의 '42행 성서'보다 78년 앞선 최고 활자본임을 입증해 국제적 공인을 받았다.〈본지 1972년 5월 28일자 1면 특종 보도〉

◇가난한 유학생에서 직지 대모로

23일 별세한 '직지(直指) 대모' 박병선 박사는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1955년 홀로 프랑스로 유학 갔다. 한국에서 유학 비자를 받은 여성 1호였다. 소르본대학과 프랑스고등교육원에서 각각 역사학과 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1967년부터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근무했다. 학창 시절 스승인 이병도(1896~1989) 교수가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대가 고서들을 약탈해 갔다는 얘기가 있는데 확인이 안 된다. 유학 가면 한 번 찾아보라"고 한 이야기를 가슴에 새긴 박 박사는 10여년간 도서관·박물관 등을 뒤지고 다녔다.

그렇지만 외규장각 도서의 행방은 묘연했다. 그러다 먼저 직지심체요절을 발견한 것. 그녀는 고활자본을 해독하기 위해 백지상태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거의 매일 밤을 새워 아침에 도서관에 출근하면 동료들이 '눈이 왜 빨개? 너 어제 울었니'라고 묻기 일쑤였다. 최고의 금속활자본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활자를 직접 만들어 찍어보다 세 번이나 집에 불을 낼 뻔했다.

지난 2008년 ‘조선조의 의궤’개정판을 내려고 한국을 찾은 박병선 박사는 “자료를 찾으려고 몇 년을 두고 뒤지다가 마침내 찾아내는 기쁨이 어떤 건지 아세요? 길거리를 가다가도 그걸 생각하면 벙글벙글 웃음이 나옵니다”하며 웃었다. /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감자로도 만들고, 지우개로도 만들고…. 그러다 인쇄소에 가면 예전에 금속으로 만들었던 활자들이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인쇄소에 부탁한 금속활자를 직접 잉크에 찍어봤더니 책에 찍힌 활자 형태와 같은 것을 보고 이것이 금속활자라는 확증을 한 것이죠."

◇의궤와의 운명적 만남

본격적으로 외규장각 도서를 찾아다니던 1975년 베르사유궁에 파손된 책을 보관하는 곳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찾아갔더니 사서가 푸른 천을 씌운 큰 책을 한 권 들고 나왔다. 책을 펼치니 조선 왕실 기록물인 '의궤(儀軌)'였다. 1866년 프랑스 군대에 약탈당한 후 도서관 창고에서 '파지(破紙)'로 분류돼 있던 외규장각 도서를 드디어 찾아낸 것이다.

'한국 여자'가 외규장각 문제를 제기하자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반응은 차가웠다. 국립도서관의 비밀을 누설했다는 이유로 1979년 사표를 강요받았다. 사실상 해고였다. 한국 정부도 그녀를 못 본 척했다. 해고된 뒤에도 박씨는 '개인' 자격으로 10여년을 도서관에 매일 출근하며 외규장각 도서 내용 파악에 매달렸다. "점심 시간에 자리를 비우면 책을 일찍 반환하라고 할까봐 밥도 안 먹었다." 프랑스 국립도서관 직원들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외규장각 도서를 펼쳐 놓고 있는 그녀를 '파란 책에 파묻힌 여자'라고 불렀다. 외규장각 도서 표지가 파란색이었기 때문이다.

올해 6월. 박씨는 마침내 외규장각 도서 297권이 145년 만에 모두 고국으로 귀환하는 것을 지켜봤다. 외규장각 도서 귀환 환영식에 참석차 귀국한 그녀는 "말로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 이럴 때 쓰는 말일 것 같다"며 감격하면서도 당부의 말을 잊지 않았다. "의궤가 한국에 영원히 남도록, 다시는 프랑스에 가지 않도록 여러분 모두가 노력해주길 바랍니다."

◇일 많아 바쁘다고 했는데

박씨는 생전 인터뷰에서 "긴 시간 가장 힘들었던 것은 한국 정부와 학자들의 냉대였다"고 했다. "동양학자대회 때 직지를 발표하고 나니 어떤 한국 학자는 '네가 왜 서지학에 손을 대느냐. 한국 서지학자들도 못했는데 네가 어떻게 자신만만하게 그런 소릴 할 수 있느냐'고 따졌다. 외규장각 도서문제를 제기했을 때는 한국 외무부에서 왜 이런 것을 자꾸 끄집어내서 자기네들 골치 아프게 하느냐며 제발 좀 가만히 있으라고 했다"고 했었다.

그녀가 고국의 따뜻함을 느낀 것은 역설적으로 병마(病魔) 때문이었다. 지난 2009년 귀국했던 그녀는 뜻밖의 직장암 선고를 받았다. 가족도 돈도 없이 막막했던 그녀의 사연이 알려지자 곳곳에서 성원이 답지했다. 덕택에 지난해 수술도 무사히 마쳤다. 건강이 어느 정도 회복되자 "연구할 게 많아 프랑스로 빨리 돌아가야 한다"고 했다. 평생 독신으로 살며 오로지 우리 고문서 찾기와 의미 밝히기에만 매달렸던 그녀였다. 일제 강점기 때 프랑스 주재
일본 영사관에서 본국에 보낸 외교문서를 해독해 독립운동사의 사각지대를 메우겠다며 연구 의욕을 보였지만 그 꿈은 후학들에게 숙제로 남겨졌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서생 무릉도원  (0) 2012.06.14
부산 자갈치 시장  (0) 2011.12.01
고귀한 봉사  (0) 2011.10.17
중국집 철가방  (0) 2011.09.29
노르웨이의 비극  (0) 2011.07.27

+ Recent posts